티스토리 뷰

HTML 주석

 ▷ 문서 소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추가할 때 사용

   * 화면상에는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음 → 소스에서만 확인 가능

     <!-- 주석 내용 -->

    ☞ '<--' 와 '-->'는 하나의 문자처럼 사용 → 문자 사이에 공백 불가

    ☞ 주석 안에서는 <, >, -- 를 사용하지 말아야 함 


줄을 바꾸는 <br> 태그

 ▷ 편집기에서 엔터키와 같은 기능
   * 종료태그 </br> 없이 사용 → <br/> = <br></br>


단락을 나누는 <p> 태그

 ▷ 문단을 나누어 독립된 단락을 생성
   * 단락 전후에서 줄바꿈이 수행됨


공백 및 특수 문자 입력

 ▷ 공백, 예약어로 사용하는 문자 또는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수 없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 연속된 여러 개의 공백 → &특수이름;
   * <, >, ", & → &#10진수코드;
   * ©, ¥,♡, ☞, … → &#x16진수코드;


특수문자

특수이름

10진수코드

16진수코드

<

&lt;

&#60;

&#x3c;

>

&gt;

&#62;

&#x3e;

&

&amp;

&#38;

&#x26;

"

&quot;

&#34;

&#x22;

공백

&nbsp;

&#32;

&#x20;

©

&copy;

&#169;

&#xa9;


&#165;

&#xa5;



&#x2661;


 

&#x261e;



수평선을 그리는 <hr> 태그

 ▷ 텍스트 사이에 수평선을 그리는 것
   * 단락의 주제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
   * 자동 줄바꿈, 종료 태그없이 사용 



단락의 제목을 지정하는 <hn> 태그

 ▷ n=1,…,6 → <h1>, <h2>, <h3>, <h4>, <h5>, <h6>

   * 크기 : <h1> <h2> <h3> > <h4> <h5> > <h6>

   * 굵은 글자(볼드), 자동 줄바꿈

 


텍스트를 자유롭게 표시하는 <pre> 태그

 ▷ 편 집기에서문자가 입력된 형식을 그대로 유지하여 출력




단락을 들여쓰는 <blockquote> 태그

 ▷ 상하여백으로 구분되는 단락의 생성 및 들여쓰기 기능
   * 들여쓰기 간격의 인위적인 조정은 불가

   * 주로 인용문을 만들 때 사용, cite 속성(인용 부분의 URL 지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