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의 배열 표현 행렬을 컴퓨터에서 표현하기에는 2차원 배열이 적합함 행렬의 2차원 배열 표현 행 우선 배열 1차원 배열을 여러 개 쌓아 놓은 것이 2차원 배열 열 우선 배열 1차원 배열을 여러 개 세워 놓은 것이 2차원 배열 행 우선 할당 가로의 1차원 배열 단위로 메모리 영역을 우선 할당함 열 우선 할당 세로의 1차원 배열 단위로 메모리 영역을 우선 할당함 C 언어 에서의 2차원 배열(행 우선 순서 저장) C 언어에서 A[5][3]을 선언하면 다음과 같은 배열이 생성됨
배열의 추상 자료형 ADT Array 객체 : 쌍들의 집합. 여기서 Index는 순서를 나타내는 원소의 유한집합이고 Element는 타입이 같은 원소의 집합 배열 객체 정의 : 쌍들의 집합이며, Index는 순서를 나타내는 정수값이고 Element는 동일한 자료형의 원소값. 연산 : a∈Array; i∈Index; x, item∈Element; n∈Integer인 모든 a, item, n에 대해여 다음과 같은 연산이 정의된다.(a는 0개 이상의 원소를 갖는 배열, item은배열에 저장되는 원소, n은 배열의 최대 크기를 정의하는 정수값)① Array create(n) ::= 배열의 크기가 n인 빈 배열을 생성하고 배열을 반환한다;② Element retrieve(a,i)::= if (i∈Index) th..
배열 배열의 정의 - 일정한 차례나 간격에 따라 벌여 놓음 (사전적 정의)- ‘차례’(순서)와 관련된 기본적인 자료구조- 인덱스와 원소값()의 쌍으로 구성된 집합 * 원소의 메모리 공간(메인 메모리, DDR)의 물리적인 위치를 ‘순서’적으로 결정하는 특징 * 배열의 순서는 메모리 공간에서 저장되는 ‘원소값의 물리적 순서’ 배열의 의미 - ‘호수’(인덱스)로 표현되는 순서를 갖는 ’아파트’(메모리 영역, 원소값을 위한 저장소) - 원소들이 모두 같은 자료형과 같은 크기의 기억 공간을 가짐 - 배열의 인덱스값을 이용해서 배열의 원소값에 접근하기 때문에 직접 접근이 가능함 * 인덱스값은 추상화된 값 : 컴퓨터의 내부구조나 메모리 주소와 무관하게 개발자에게 개념적으로 정의됨 * 메모리 주소값은 실제 메모리의 물..
주요 용어 용어해설자료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값(value)이나 사실(fact)정보 어떤 상황에 대해서 적절한 의사결정(decision)을 할 수 있게 하는 지식(knowledge)이며, 자료의 유효한 해석이나 자료 상호 간의 관계(정보는 자료를 처리(process)해서 얻어진 결과(result))알고리즘 컴퓨터가 특정한 일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의 유한 집합자료형 자료가 기억될 기억 장소의 유형, 즉 정수형, 실수형 등추상 자료형 자료의 복잡한 논리적 성격을 정의하는 형식으로 자료 값의 집합과 연산 집합에 대한 명세의 집합. 학습 정리 ‘자료’는 현실 세계에서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서 수집된 값(value)이나 사실(fact)입니다. ‘정보’는 어떤 상황에 대해서 적절한 의사결정(de..
알고리즘의 성능 분석 실행시간 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실행시간을 추정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performance analysis)실행 시간의 예측 - 알고리즘의 실행 횟수를 O(n)이라고 표현 - 같은 O(n)을 가진다고 해서 같은 실행 시간을 갖는 것이 아니라 실행 시간의 유사한 증가 경향 실행메모리 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공간(메모리)을 추정하여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performance analysis) 실행 메모리의 예측 - 알고리즘의 공간 복잡도(space complexity)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완료하는 데 필요한 총 메모리 공간 - 고정 공간은 프로그램의 크기나 입출력의 횟수에 관계없이 컴파일 시에 결정되어 프로그램의 실행이 끝날 때까지 고정적으로 필요한 메모..